지난 1월 대항해시대 온라인에서는 D데이라는 이름으로 카운트다운이 시작되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었다. 여러 가지 추측이 게시판을 가득 채웠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던 의견은 부분유료화 서비스로의 전환이라는 것이었다.


예상은 현실로 다가왔다. D데이의 카운트다운이 끝나는 1월 15일, 대항해시대 온라인은 기존의 월정액제를 바탕으로 하는 유료 서비스를 종료하고 완전 무료화 서비스로의 전환을 발표하게 된 것이다.


그와 함께 유령 마을이라고 불렸을 정도로 다른 캐릭터를 보기 어려웠던 각 도시는, 푸른 색의 초보자 학교 교복을 입은 캐릭터들과 여러 이유로 한동안 바다를 떠나 있었던 캐릭터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비스 초기 오픈베타 테스트 시절이 생각나게 하는 활기 넘치는 모습으로 바뀌었다.




무료화 발표 이후 20여일이 지난 지금도 각종 게임 관련 순위 차트에서 몇 계단씩 뛰어 오를 정도로 인기를 얻고 있는 대항해시대 온라인의 운영팀은 얼마나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을까. 그리고 앞으로 대항해시대 온라인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지와 같은 여러 가지 궁금증을 풀어 보기 위하여 게임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김하영PM을 찾아가 보았다.


무료 서비스 전환 이후 접속자의 숫자가 대폭 증가하고 각종 순위 차트에서 좋은 성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접속자의 숫자가 얼마나 증가했는지, 현재 성적을 알고 싶습니다.

무료화 발표 이후 동시 접속자의 숫자는 현재 3만명 정도이며, 이는 기존의 월정액을 기반으로 하는 유료 서비스 시절에 비하면 8배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 CJ인터넷 퍼블리싱 사업부 김하영 PM ]


얼마 전까지도 헬리오스 및 셀레네 서버의 경우 접속하려면 오랜 시간 동안 접속을 시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그렇게 접속이 되지 않았던 원인은 무엇입니까?

과거 유료 서비스 시절 여러 번의 서버 통합을 실시하면서 서버별로 분리되어 있던 캐릭터의 데이터가 통합된 서버에 하나로 모여 있던 상태에서, 무료화 발표 이후 한꺼번에 접속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서버 인원 수용량을 초과하게 되어 접속이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새롭게 게임을 시작하는 분들을 위하여 서버를 추가하였고, 접속이 어려웠던 헬리오스와 셀레네 서버의 인원 분산을 위하여 헬리오스 서버의 발전도와 동일한 상태의 폰토스 서버를 오픈하여 서버 이전 서비스를 시행하게 된 것입니다.


현재 게임 내에서 아무 것도 입력하지 않은 상태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접속이 종료되는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3일까지는 개인상점을 개설해 놓으면 접속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어서 상점만 열어 두고 게임을 하지 않는, 속칭 팅방지라는 개인상점 유저들로 인해 접속을 하지 못한 유저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높았습니다.

그렇지만 4일 업데이트로 개인상점을 개설하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 입력이 없다면 자동으로 로그아웃이 되도록 바뀌었는데, 앞으로 이 외에도 접속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등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4일 업데이트를 통하여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고가에 올려 놓고 구입하지 않도록 하는 개인상점을 개설하여 접속을 유지하고, 실제 게임 내에서는 활동하지 않는 유저들의 접속 유지 행위를 막아서 더 많은 유저들에게 접속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이와 같은 업데이트는 게임 내에서 실제 플레이를 하는 액티브 유저들을 위한 조치로, 각 서버의 혼잡도에 따라서 자동 로그아웃 기능이 적용되는 시간대 및 접속 유지 판정을 하는 시간을 유동적으로 조정해 나갈 예정입니다.



[ 접속이 뜸한 오전 시간대에도 혼잡 상태인 헬리오스&셀레네 서버 ]


게임 내에서 한 명의 유저가 복수의 클라이언트를 구동시켜 플레이를 하는 것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데, 그로 인해 게임 컨텐츠 소모 및 빈부격차 불균형 등의 문제로 각종 게시판에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복수 클라이언트 구동에 대한 운영진의 입장은 무엇이며, 복수 클라이언트 구동에 대한 대처 방안을 알고 싶습니다.

운영진이 게임 내의 캐릭터 및 유저의 비율을 자체적으로 조사한 결과 1인 1캐릭터 플레이를 하는 유저들의 숫자가 전체 플레이 유저 중에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논란이 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를 구동시키는 경우는 적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복수 클라이언트로 접속하는 계정의 숫자만큼 다른 계정이 접속할 수 없었기 때문에 불만의 목소리가 높았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기본적으로 한 사람이 2개의 클라이언트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것은 운영 방침상 허용하고 있지만, 그 이상의 경우에는 불법 프로그램을 사용한다고 생각할 수 있으므로, 과도한 클라이언트 동시 구동에 대하여 머지 않아 제재를 가할 예정입니다.


얼마 전 서버 접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헬리오스 서버의 발전도를 복제한 폰토스 서버를 오픈하여 캐릭터 이전 서비스를 시행했습니다.

그렇지만 개인적 또는 서버 분위기 등의 이유로 인해 한 번 이전한 후에도 다른 서버로 다시 이전하고 싶어하는 유저들도 있는데, 앞으로 서버 이전을 원하는 유저들을 위해 캐릭터의 서버 이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은 없습니까?


이미 지금까지 여러 번 서버 이전 서비스를 해 왔던 경험도 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는 언제라도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바로 지금 당장 개인 단위의 서버 이전 서비스를 시행할 계획은 없으며, 추후 유저들의 요구에 따라 서버간 캐릭터 이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대항해시대 온라인에서 영원히 끊이지 않는 문제 중 하나로 PK 서버에서의 해적 문제를 들 수 있습니다. 분명히 해적은 게임 내에서 제공하는 시스템 내의 직업 중 하나이지만, 여러 이유로 인해 많은 커뮤니티성 논란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뿐 아니라 유저 해적에 대한 한국 서버만의 페널티 증가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는데, 유저 해적에 대한 운영진의 방침을 알고 싶습니다.

PK를 싫어하는 유저들을 고려하여 현재 대항해시대 온라인은 PK 서버와와 NON-PK 서버로 분리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PK서버에 유저들이 몰리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더욱 논란이 커진다고 생각됩니다.

게임 내의 해적 행위는 게임 시스템이 인정하는 기능이지만 해적 행위에 의한 피해 또는 방법이 지나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유동적으로 운영방침을 적용할 예정입니다. 또한 앞으로 많은 유저들의 의견을 모아서 개발사인 코에이측에 의견을 전달해 보겠습니다.


지난 1월 무료화 서비스로 변경된 지 오랜 시간이 지났고, 앞으로 등장할 등장할 유료 아이템에 대하여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유료 아이템을 판매할 시기는 언제이며, 판매할 유료 아이템은 어떤 것들로 이루어져 있습니까?

유료 아이템의 목록 및 판매 일정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현재의 기본 무료 플레이 서비스 방침은 앞으로 변하지 않을 것이며, 기존의 월정액제 유료 서비스 형태로는 되돌아가지 않을 것입니다.



[ 챕터 5에서는 오스만투르크 망명이 가능해진다 ]


이번 달 2월 17일에 일본 서버에는 확장팩의 챕터5가 적용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한국 서버와 일본 서버의 업데이트 일정의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은 편인데, 한국 서버에는 챕터5가 언제 적용될 예정입니까?

지금까지 일본과 한국의 업데이트 기간은 3개월 정도의 차이를 두고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챕터5에 도입되는 각종 시스템들로 인해 테스트 등을 고려하여 6월 전후로 한국 서버에 업데이트할 계획이나, 아직 정확한 일정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현재 일본 서버에서는 게임과 휴대전화를 연동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일본과 같이 대항해시대 온라인용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고 싶습니다.

지금까지는 한국에서 모바일 서비스와 게임을 연동할 계획은 없었지만, 추후 유저들의 의견에 따라 서비스를 하는 것을 고려하여 개발사측에 전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게임을 즐기고 있는 많은 항해자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운영진들도 놀랄 정도로 많은 분들이 찾아와서 게임을 즐기는 것에 대하여 감사드립니다. 현재 대항해시대 온라인 운영진은 서버 안정성의 확보를 최고 우선순위의 목표로 삼고 여러 분야에서 업무를 진행하고 있으며, 서버 안정성 외의 문제들 역시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앞으로도 유저 여러분들에게 가능한 한 편의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대항해시대 온라인 인벤 바로가기




Inven Fact - 이민규 기자
(fact@inven.co.kr)